농업‧농촌의 미래 충남이 그 길을 묻다

지난 23일 오후 충남도청 대회의실서 '2020 충남 미래농정 포럼' 개최

하선주 기자 | 기사입력 2020/02/24 [11:00]

농업‧농촌의 미래 충남이 그 길을 묻다

지난 23일 오후 충남도청 대회의실서 '2020 충남 미래농정 포럼' 개최

하선주 기자 | 입력 : 2020/02/24 [11:00]

 

  © 한국시사저널

 

  © 한국시사저널


[한국시사저널=하선주 기자] 충남도가 23일 오전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의 미래 , 충남이 그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2020 충남 미래농정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양승조 충남지사를 비롯해 김용찬 행정부지사, 이우성 충청남도 문화체육부지사, 김명숙‧양금봉 충남도의원, 추욱 충남도 농림축산국장, 김부성 충남도 농업기술원장, 길정섭 충남농협본부장, 박의열 충남도 3농정책위위원장, 전해일 농업경영인 충남연합회장 등이 참석했다.

 

  © 한국시사저널


이날  양 지사는 “농정포럼을 통해 현장정책으로 만들어 나가며 제도화 하고 행정화해 나가려 한다”며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추진하고 농업안정화 농업인수당 농업안정제 추진 강화와 농업활성화를 위한 로컬푸드, 농업형 청년농업인 확대, 농업복지 농업의 공익형 강화와 행복한 충남실현, 클린축산육성과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농정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현철 서울대 교수가 ‘글로벌 경제 대변혁과 한국’이라는 초청 강연에서 “농업농촌에서의 패러다임의 대전환(고정관념을 버리고,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선진 경제로의 진입, 질적 성장을 위해서는 비관론이 경제를 망친다며, 비관론을 버리고, 행복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수단(돈. 경제)을 목적시 하는 것을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 한국시사저널


‘미래농정의 이슈 진단과 충남도의 대응 방안’에 대해 김창길 서울대 특임교수의 주제발표에서 김 교수는 “4차산업혁명은 농업 농촌의 미래에 새로운 희망과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미래 농업은 세계 식량위기와 인류 생존의 문제 등을 글로벌 시각에서 성장산업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발상의 전환의 사례를 제시하며,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잘못된 관행은 끊고 과감하게 변화와 혁신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충고했다.

 

  © 한국시사저널


이날 열린 지정토론에서 임정빈 서울대 교수는 ‘한국 농업농촌을 둘러싼 메가트렌드와 발전전략’이라는 주제로 한국 농업을 둘러싼 메가트렌드, 제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농업, 한국 농업의 현활과 해결과제, 한국 농업의 비전과 발전전략을 중심으로 주제발표를 했다.


임 교수는 “한국농업의 비전과 발전전략을 위한 10대 핵심과제를 제시하고 8대 예상효과를 제시함으로써 한국 농업과 농촌의 미래 모습”을 제시했다.


오현석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사무국장은 ‘농정틀 전환과 지속가능한 농업 농촌을 위한 중점과제’를 주제로 “공익형 직불제와 농어촌 지역재생과 삶의 질, 농어촌 그린뉴딜, 농어업 스마트화, 농수산물 스마트 유통, 농식품산업 신성장동력 및 먹거리종합계획(푸드플랜)”을 제시했다.

 

  © 한국시사저널


이명기 한국농촌경제원 미래정책연구실장은 ‘스미트농업 확산을 위한 정책과제’를 주제로 “스마트농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인력육성 및 스마트농업 기술뿐만 아니라 농업 전반의 기술확산(보급)에 민간의 역할 확대”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충남도는 3농 정책 추진계획에서 농산업기업의 R&D 투자 및 참여 확대를 위한 정책강화와 스마트팜 빅데이터의 수집보다 중요한 것이 분석과 분석 결과의 현장 적용이라며 중앙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전국단위에서 사업 추진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마야 충남연구원 연구위원은 ‘농정 구조개편, 미래 농정혁신’ 이라는 주제로 “국가의 농정비전과 4대 지향점(지속가능성, 포용성, 혁신성, 자치분권)을 들며, 충남농정체계 4대 혁신(농정조직의 혁신 농정예산의 혁신 농정정보의 혁신 농정주체 인식의 혁신)과제는 별개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 연결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민철 젊은협업농장 이사는 농업농촌농민의 어려움을 들며, “농업농민 농촌의 변화에서 행정의 칸막이를 어떻게 넘을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며 “관행이 아닌 혁신, 칸막이가 아닌 통합, 배제가 아닌 포용으로 이는 농업‧농촌‧농민을 위한 정책의 원리가 적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선주 기자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